안녕하세요 띵킹대빵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전문대학원 중 하나인 의학전문대학원에 대한 설명을 해보려고 합니다.
의학전문대학원, 즉 의전원에 대해 다들 알고 계신가요?
전문대학원은 이전에 포스팅을 진행했듯이, 전문 직업에 종사하기 위한 자격을 얻기 위한 대학원이며, 의전원은 의사가 될 수 있는 대학원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의사가 될 수 있는 방법은 의대 입학, 의대 편입(일반/학사), 의학전문대학원 이 3가지 방법밖에 없기 때문에 많은 수의 학생들이 의사가 되기 위해 의전원에 대한 관심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의과대학인 의대는 의학과 예과 2년, 의학과 본과 4년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6년 과정을 이수해야만 의학사를 취득하고 의사면허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의대의 입시는 이과에서도 최상위권들만 주로 입학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의대 입시에 성공하지 못했거나 대학에 입학했는데 의사가 되고 싶은 분들께서는
편입과 의전원 입학을 통해 의사가 되실 수 있습니다.
1. 의대편입
- 의대편입은 일반편입과 학사편입이 존재하며, 일반편입은 의학과에 결원이 생길 때 모집하며 매번 모집하는 인원의 숫자가 다릅니다. 학사편입의 경우, 모집하고 있는 수가 적다는 것이 의대 편입을 하기에 어려운 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의대에 편입하게 되면, 본과 4년을 다니게 되고 졸업 이후에 의사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자격이 됩니다.
2. 의학전문대학원
- 의학전문대학원의 경우, 대학교 4년제를 졸업한 학생들이 의사가 될 수 있는 과정입니다. 의학전문대학원은 일반 의학과와 다르게 졸업하게 되면, 의학석사를 취득하게 된다는 점이 가장 다르며 그 이외에는 의학과 본과 4년 과정과 똑같이 4년을 공부하여 졸업을 하게 됩니다.
의학전문대학원은 의학교육입문검사(MEET)를 전형 요소로 포함하여 선발을 진행하며, 2017학년도부터는 의치의학교육입문검사 시험인(MDEET)로 통합된 시험으로 전형 요소로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보통 1단계에서 2~5배수를 MEET(의학교육입문검사) 점수, 대학교 평점(GPA), 영어 자격시험 점수(주로 TOEIC, TEPS), 서류심사 점수, 봉사활동 이력 등을 통해 심사를 진행하게 되며, 학교마다 퍼센트가 다 다르므로 꼭 지원하고자 하는 학교에 대한 정보를 찾아봐야 합니다.
하지만, 이런 의학전문대학원 제도는 현재 거의 다 폐지되어가고 있습니다.
현재 신입생 모집을 하고 있는 의전원
차의과학대학교(2006~)
건국대학교(글로컬) (2005~2023)
강원대학교 (2008~2022)
이 세개의 학교만이 남아 있으며,
2023년 이후에는 차의과대학교만이 의학전문대학원을 운영할 것으로 확인됩니다.
의사가 되기 위한 꿈을 가지고 계신다면 차의과학대학교 의전원을 목표로 지속적인 공부를 하는 것은 어떨까요?
